2025년 주휴수당 계산법 총정리 – 알바생 필독!

📌 주휴수당이란 무엇인가?

주휴수당은 1주일 동안 정해진 근로일을 모두 성실하게 출근한 근로자에게 유급으로 지급되는 하루치 임금입니다. 주휴수당은 정규직뿐 아니라 아르바이트생, 시간제 근로자에게도 적용됩니다.

 

즉, 매주 일정 근무일을 모두 채웠다면, 하루 쉬는 날도 시급을 받는 것처럼 급여가 계산되는 구조입니다.

 

🕒 주휴수당 발생 조건은?

  • 주 15시간 이상 근무
  • 소정 근로일(약속된 요일)을 개근할 것

예를 들어 주 5일, 하루 3시간 근무한다면 주 15시간 이상이며, 결근 없이 모두 출근했다면 주휴수당이 발생합니다. 단, 주 14시간 이하 근로자에게는 주휴수당이 발생하지 않습니다.

 

💰 2025년 기준 주휴수당 계산법

2025년 최저임금은 시간당 10,030원입니다. 주휴수당은 “1일분 임금 = 1주 평균 근로시간 ÷ 근로일수 × 시급”으로 계산합니다.

하지만 아르바이트생의 경우 대부분 간단히 1주 근무시간 ÷ 5 × 시급으로 계산합니다. 계산 예시는 다음과 같습니다.

  • 주 5일, 하루 4시간 근무 = 주 20시간
  • → 주휴수당 = 4시간 × 10,030원 = 40,120원
  • → 월 4주 기준 약 160,480원 추가 지급

결국 주휴수당은 시급만큼의 급여를 20%~25% 이상 더 받게 만드는 요소입니다. 이를 모르면 실제보다 급여를 적게 받을 수 있습니다.

 

📄 근로계약서에 주휴수당 명시해야 하나?

모든 근로계약서에는 시급과 별도로 주휴수당 포함 여부가 명확히 기재되어야 합니다. 하지만 많은 고용주가 ‘포함된 금액’이라며 별도 명시 없이 급여를 계산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알바생 입장에서는 주휴수당이 포함된 급여인지, 별도로 지급되는지 계약서에서 확인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그렇지 않으면 법적 분쟁 소지가 생길 수 있습니다.

 

📣 자주 묻는 질문 (FAQ)

  • Q. 주휴수당은 주말에 쉬는 날에도 나오나요?
    A. 네. 법정 기준만 충족하면 쉬는 요일과 무관하게 지급됩니다.
  • Q. 하루만 결근해도 주휴수당 못 받나요?
    A. 네. 소정근로일을 모두 출근해야 발생합니다.
  • Q. 알바 시급에 주휴수당이 포함됐다고 하면?
    A. 포함된 경우, 시급은 더 높아야 하며 계산 근거를 요구할 수 있습니다.

 

✅ 마무리: 근로자 권리, 정확히 알아야 지킨다

주휴수당은 많은 아르바이트생이 놓치기 쉬운 임금 항목입니다. 2025년 기준 시급이 10,030원으로 인상되면서, 주휴수당 금액도 함께 늘어납니다.

 

근로계약 전, 본인의 주휴수당 발생 여부와 시급 계산 방식, 그리고 포함 여부까지 꼼꼼히 확인하세요. 그리고 주휴수당을 받지 못했다면 고용노동부에 익명 진정을 할 수도 있습니다.

 

권리는 알아야 행사할 수 있습니다. 지금 내 시급이 합당한지, 다시 한번 확인해보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