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알바 실수령액 계산법 – 시급 10,030원 기준 정리

📌 시급 10,030원, 월급으로 환산하면 얼마일까?

2025년 최저임금은 시급 10,030원입니다. 이를 기준으로 주 40시간, 월 209시간 근무 시 월급은 다음과 같습니다.

  • 월급(세전): 10,030원 × 209시간 = 2,096,270원
  • 주휴수당 포함 시: 근무시간에 따라 추가 금액 발생

하지만 실제 알바생이 받는 금액은 ‘세전 금액’이 아니며, 4대 보험 등의 공제 후 금액이기 때문에 실수령액은 더 낮습니다.

 

🧮 주휴수당 포함 실수령액 계산 예시

아래는 주 5일, 하루 4시간 근무하는 아르바이트 기준으로 계산한 예시입니다.

  • 주 근로시간: 20시간
  • 주휴수당: 4시간 × 10,030원 = 40,120원
  • 주 급여(주휴 포함): (20시간 + 4시간) × 10,030원 = 241,200원
  • 월급(4주 기준): 약 964,800원 (세전)

주휴수당을 포함하면 월 실급여는 15~20% 정도 증가합니다. 따라서 반드시 포함 여부를 확인하고 계산해야 합니다.

 

📉 4대 보험 공제 항목은?

알바라도 일정 조건(주 15시간 이상 근무, 1개월 이상 고용 등)에 해당되면 4대 보험 가입 대상이 됩니다. 주요 공제 항목은 다음과 같습니다.

  • 국민연금: 월급의 4.5%
  • 건강보험: 월급의 3.545%
  • 장기요양보험: 건강보험의 12.81%
  • 고용보험: 월급의 0.9%

예를 들어, 세전 월급이 964,800원인 경우 공제 금액은 약 6~7만 원 수준이며, 실수령액은 약 890,000원 내외입니다.

 

📋 알바 실수령액 계산기 이용 팁

정확한 금액 계산을 위해서는 온라인 실수령액 계산기를 활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주요 추천 사이트는 다음과 같습니다.

  • 고용노동부 공식 실수령액 계산기
  • 알바몬, 잡코리아 실수령액 계산기
  • 민간 플랫폼 ‘시급 계산기’ 검색 활용

계산기에서는 근무일수, 주휴수당 포함 여부, 4대 보험 가입 여부 등을 체크하면 정확한 실수령 금액을 알려줍니다.

 

📌 주의사항 – 세전 시급 vs 실수령 시급

알바 공고에서 제시하는 시급은 대부분 세전 기준입니다. 주휴수당이 포함됐는지, 4대 보험 공제가 있는지 확인하지 않으면 실제 받는 금액이 기대보다 적을 수 있습니다.

 

예: 시급 12,000원 제시 → 주휴수당 포함 시급인지 확인 필요

또한 실수령액은 근무 기간, 근로시간, 사업장 규모에 따라 달라지므로, 반드시 계약서와 조건을 함께 고려해야 합니다.

 

✅ 마무리: 내 월급, 내가 계산해야 합니다

2025년 시급 10,030원 기준으로 알바를 하더라도, 주휴수당과 공제 항목에 따라 실제 받는 금액은 크게 달라질 수 있습니다.

실수령액은 단순히 시급 × 시간만으로 계산되지 않으며, 세금과 주휴수당까지 포함해야 제대로 된 급여를 예측할 수 있습니다.

 

계약 전 반드시 시급의 구성과 공제 항목을 확인하고, 직접 계산해보는 습관을 들이세요. 그래야 공정한 노동과 정확한 보상을 받을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