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최저임금은 시급 10,030원입니다. 이를 기준으로 주 40시간, 월 209시간 근무 시 월급은 다음과 같습니다.
- 월급(세전): 10,030원 × 209시간 = 2,096,270원
- 주휴수당 포함 시: 근무시간에 따라 추가 금액 발생
하지만 실제 알바생이 받는 금액은 ‘세전 금액’이 아니며, 4대 보험 등의 공제 후 금액이기 때문에 실수령액은 더 낮습니다.
아래는 주 5일, 하루 4시간 근무하는 아르바이트 기준으로 계산한 예시입니다.
- 주 근로시간: 20시간
- 주휴수당: 4시간 × 10,030원 = 40,120원
- 주 급여(주휴 포함): (20시간 + 4시간) × 10,030원 = 241,200원
- 월급(4주 기준): 약 964,800원 (세전)
주휴수당을 포함하면 월 실급여는 15~20% 정도 증가합니다. 따라서 반드시 포함 여부를 확인하고 계산해야 합니다.
알바라도 일정 조건(주 15시간 이상 근무, 1개월 이상 고용 등)에 해당되면 4대 보험 가입 대상이 됩니다. 주요 공제 항목은 다음과 같습니다.
- 국민연금: 월급의 4.5%
- 건강보험: 월급의 3.545%
- 장기요양보험: 건강보험의 12.81%
- 고용보험: 월급의 0.9%
예를 들어, 세전 월급이 964,800원인 경우 공제 금액은 약 6~7만 원 수준이며, 실수령액은 약 890,000원 내외입니다.
정확한 금액 계산을 위해서는 온라인 실수령액 계산기를 활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주요 추천 사이트는 다음과 같습니다.
- 고용노동부 공식 실수령액 계산기
- 알바몬, 잡코리아 실수령액 계산기
- 민간 플랫폼 ‘시급 계산기’ 검색 활용
계산기에서는 근무일수, 주휴수당 포함 여부, 4대 보험 가입 여부 등을 체크하면 정확한 실수령 금액을 알려줍니다.
알바 공고에서 제시하는 시급은 대부분 세전 기준입니다. 주휴수당이 포함됐는지, 4대 보험 공제가 있는지 확인하지 않으면 실제 받는 금액이 기대보다 적을 수 있습니다.
예: 시급 12,000원 제시 → 주휴수당 포함 시급인지 확인 필요
또한 실수령액은 근무 기간, 근로시간, 사업장 규모에 따라 달라지므로, 반드시 계약서와 조건을 함께 고려해야 합니다.
2025년 시급 10,030원 기준으로 알바를 하더라도, 주휴수당과 공제 항목에 따라 실제 받는 금액은 크게 달라질 수 있습니다.
실수령액은 단순히 시급 × 시간만으로 계산되지 않으며, 세금과 주휴수당까지 포함해야 제대로 된 급여를 예측할 수 있습니다.
계약 전 반드시 시급의 구성과 공제 항목을 확인하고, 직접 계산해보는 습관을 들이세요. 그래야 공정한 노동과 정확한 보상을 받을 수 있습니다.
'일상 story'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5년 알바생이 꼭 알아야 할 4대 보험 가입 기준과 혜택 (1) | 2025.03.30 |
---|---|
알바 주휴수당 포함 시급? 이렇게 확인하세요 (4) | 2025.03.30 |
근로계약서에 반영되는 최저임금 조항 체크포인트 (0) | 2025.03.29 |
2025년 주휴수당 계산법 총정리 – 알바생 필독! (0) | 2025.03.29 |
2025년 최저임금 인상, 자영업자에게 미치는 영향과 대응 전략 (0) | 2025.03.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