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주휴수당 포함 시급이란?

주휴수당 포함 시급이란, 기본 시급에 주휴수당까지 포함하여 합산된 시급을 의미합니다. 일부 사업장에서는 별도로 주휴수당을 지급하지 않고, 시급 자체에 주휴수당이 포함됐다고 주장하기도 합니다.
문제는 이 시급이 법정 최저임금보다 낮을 경우 위법이라는 점입니다.
💰 2025년 최저 시급 기준
- 기본 시급: 10,030원
- 주휴수당 포함 시: 약 12,036원 이상 되어야 합법
즉, 주 15시간 이상 근무하고 개근했을 때 주휴수당이 발생하므로, 시급이 11,000원 수준인데 주휴수당 포함이라면 불법 가능성이 있습니다.
🧾 포함 여부 확인하는 방법
- 1. 근로계약서를 확인 – 시급 항목에 ‘주휴수당 포함’ 문구가 있는지 확인
- 2. 실제 시급 계산 – 예: 주 20시간 근무 시 주휴 4시간 추가 → 총 24시간 × 시급 계산
- 3. 사장님에게 정확히 물어보기 – “주휴수당은 시급에 포함인가요? 별도 지급인가요?”
특히 시급이 10,030원~11,000원 사이인데 ‘포함’이라면 거의 확실히 위법 가능성이 높습니다.
📊 예시 비교 – 포함 vs 미포함
구분 | 시급 | 주휴수당 | 월급 (4주 기준) |
---|---|---|---|
주휴수당 미포함 | 10,030원 | 별도 지급 | 약 964,800원 + 주휴수당 |
주휴수당 포함 | 12,036원 | 이미 포함 | 약 1,089,920원 |
두 금액은 같아 보여도, 법적 기준 충족 여부와 세후 지급 구조가 완전히 다를 수 있습니다.
⚠️ 주의! 이런 문구가 있다면 체크하세요
- “시급에 주휴 포함돼 있어요” → 시급이 얼마인지, 계산해보기
- “알바는 주휴 못 받아요” → ❌ 사실 아님 (주 15시간 이상 근무 시 지급)
- “세전 기준이에요” → 4대 보험 공제 후 실제 수령액도 확인해야 함
근로계약서에 주휴수당 포함 여부가 명확히 표기되지 않으면 불리해질 수 있습니다.
✅ 마무리: 시급이 아니라 ‘구성’을 보자
시급만 보고 계약하면 생각보다 월급이 적을 수 있습니다. 특히 주휴수당이 포함인지 아닌지는 실제 받는 금액에 큰 차이를 만들기 때문에 반드시 확인이 필요합니다.
계약 전에는 시급의 구성, 계약 후에는 실지급 내역을 꼼꼼히 비교하는 습관이 중요합니다. 내가 받을 돈은 내가 계산해야 지킬 수 있습니다.
'일상 story'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5년 1인 가구 생존비 공개! 현실적인 월 생활비 절약 팁 (2) | 2025.03.30 |
---|---|
2025년 알바생이 꼭 알아야 할 4대 보험 가입 기준과 혜택 (1) | 2025.03.30 |
2025년 알바 실수령액 계산법 – 시급 10,030원 기준 정리 (0) | 2025.03.30 |
근로계약서에 반영되는 최저임금 조항 체크포인트 (0) | 2025.03.29 |
2025년 주휴수당 계산법 총정리 – 알바생 필독! (0) | 2025.03.29 |